본문 바로가기
이슈

2023 서울시 청년 주거안정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

by 정선경 2022. 12. 2.
반응형


서울시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

_

내년 2023년 에는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전세반환보증료를 더욱 확대한다고 하는데 올해 2022년에는 지원받지 못하셨지만 내년에 신청하실 분들을 위해 관련된 자세한 내용 안내드리겠습니다.

 

_

사회초년생들에게 전 재산과 다름없는 ‘전세금’ 이를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사기 피해가 심각합니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처음으로 청년들의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을 추진했는데 청년들의 관심이 뜨거웠는데 신청자를 보면 총 857가구가 신청해 610가구가 선정됐고, 1인 평균 약 16만 원의 보증보험료 전액을 서울시가 지원했습니다.

 

서울시는 올해 첫 시행을 발판으로, 내년 2023년에도 청년들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지원인원 등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_

뉴스 기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시가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올해 처음 시행한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이 청년층의 큰 호응 하에 성공적으로 추진됐다.

총 857 청년 가구가 신청했으며, 이 중에서 저소득순 (36,743천원 이하 해당)으로 610가구를 선정하여 가입 한 보증보험료 전액을 지원했다.

1인당 평균 보험료는 163,578원으로 총 1억원 사업 예산으로 915억 원의 청년 자산을 지켜낸 셈이다.

지원대상은 만 19~39세 무주택 세대주로 전 월세임차 보증금 2억 원 이하,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및 납부 완료한 청년 임차인 입니다.

보증금은 1억~2억 원이 대부분(85.2%)으로 평균 보증 금은 1억 4,800만 원이며, 전세가 대다수(86.6%)이나 월세인 경우 월세금액은 50만 원 이하가 많았습니다.

선정자 610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인가구•사회초년생이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이에 따라 주택유형도 오피스텔, 빌라 등 깡통전세사기에 취약 한 주택의 가입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선정자 610가구 중 실제 보증사고 피해 경험이 있는 청년은 37가구였으며 이중 5가구는 보증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사전에 보증보험을 가입해 놓은 덕분에 보증 기관으로 부터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출처: 서울시

_

■전세 보증금 미반환 실제 사례


사례1. 지방에서 꿈을 위해 어렵게 상경했는데 보증금 날려 전세반환보증 가입 필요성 깨닫고 서울시 지원 신청
사회초년생 A씨는 서울 소재 직장에 취업하게 되어 이사할 집을 전세 계약하였다.

 

중소기업취업청년대출(중기청)을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고 전입신고, 확정 일자까지도 문제없이 완료하였는데 그런데 갑작스럽게 새 집주인의 채무 문제로 인하여 보증금 전부를 돌려받을 수 없게 되었다.

지방에서 꿈을 위해 상경 했는데 이러한 상황에 절망감을 느끼고 오랫동안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생하였다.

이런 뼈아픈 피해 경험을 통해 전세반환보증 가입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달았고, 서울시 지원 사업에 신청하였다.

 

_

사례2. 계약만료후 임대인 연락두절, 알고 보니 임대인 사업 망해 잠수
신혼부부 B씨는 계약만료 전 임대인에게 통보도 했고, 보증금 반환도 약속받았는데 계약만료일이 지났는데도 임대인이 보증금 지급을 차일피일 미루다가 한 두달이 지나자 연락이 두절됐는데 알고 보니 임대인이 임대 사업을 통한 수익으로 다른 사업을 하고 있었는데, 그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모든 임차인들의 보증금을 지급하지 않고 잠수를 탄 것이었다.

새집으로 이사 갈 보증금도 없고, 전입도 할 수 없었으며 법원에 가서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 후 새 집으로 전입은 했지만, 못 받은 보증금은 그로부터 2년 정도 후에 집이 경매에 넘어간 뒤에 겨우 받았다.

_

이런 전세사기 피해자의 대부분은 2030청년세대로, 사회 진출 초년생일수록 주거환경이 불안정합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청년 가구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고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지원인원을 늘리는 등 보증료 지원 사업 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도 지난 9월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을 발표하고, 그 일환으로 전세반환보증 가입률 증대 를 위한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을 검토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국토부와의 협의를 통해 청년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동사업을 확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며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서울시가 올해 처음 시행한 '청년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에 대한 청년층의 열 호응을 보고, 청년층의 주거불안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며 청년의 주거안정성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 을 위하여 다각도로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더욱 자세한 안내는 서울시 청년몽땅정보통 FAQ정보를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 같습니다.

 

FAQ |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 주거비 지원 | 주 거 | 전월세보증료 지원 FAQ | 청년

청년몽땅정보통,전월세보증료 지원 FAQ

youth.seoul.go.kr

(청년 전세보증감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자주 묻는 질문)

_

본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