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푸르밀 부활? 30% 감원 후 사업 유지?

by 정선경 2022. 11. 8.
반응형


푸르밀 부활?

푸르밀 30% 감원 후 사업 유지?

_

푸르밀 노사가 임직원의 30%를 줄인 뒤 사업을 유지하기로 일부 합의했다며 구조조정 후 사업을 영위하되 인수희망 업체가 나타날 경우 매각을 추진한다는 향후 계획에도 뜻을 모았다고 전해졌습니다.

다만 이는 노조와 사측 비상대책위원회 간의 협의로 푸르밀 오너 일가의 최종 결단이 남은 상황 입니다.

신준호 회장과 신동환 대표가 이를 수용할 경우 푸르밀 사태는 일단락 되지만 반대의 경우 사태는 장기화 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_

2022년 11월 8일 업계에 따르면 푸르밀 노동조합과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북 전주 공장에서 4차 교섭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장시간 논의한 끝에 회사에서 노조가 제기한 30%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였다"며 "임직원 감원 후 사업을 자체 운영하고 인수업체를 찾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날 푸르밀 사측 비상대책위원회는 노조 측에 8일 오전 10시 면담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이들은 전날 늦은 오후 전북 전주로 내려와 면담을 준비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푸르밀 신동환 푸르밀 대표이사는 '임직원 30% 구조조정' 또는 '법인 완전 청산' 중 회사 운명을 결정하기로 했었으며 이달 4일 3차 교섭을 마친 뒤 김 위원장은 기자들과 자리에서 "신동환 대표이사가 재매각을 진행하며 임직원 50% 구조조정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이에 30% 구조조정으로 조정해달라고 전했습니다.

 

이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사업종료 말고 법인청산을 진행하라고 촉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_

한편 푸르밀은 지난달 10월 17일 전 직원에게 메일을 보내 11월30일자로 사업종료·정리해고를 통지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소식에 노조가 반발하자 같은달 24일·31일과 11월4일에 1·2·3차 노사 교섭을 진행했습니다.

2차 교섭 자리에서 사측은 재매각 추진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으나 다만 이후 낙농진흥회에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하고 임직원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등 사업 종료 수순을 진행했습니다.

 

_

푸르밀 노사 합의 푸르밀 부활?
유제품 전문기업 푸르밀 노사가 30% 인력 감축 후 사업 유지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사측이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2022년 11월 8일 푸르밀 관계자는 언론사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4차 교섭 후 푸르밀 노사가 30% 구조조정안에 전격 합의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설명 처럼 푸르밀 노사 교섭 이후 김성곤 위원장은 “본사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위원들이 내려와서 갑작스럽게 교섭을 했다”며 “장시간 논의 끝에 회사가 노조가 제시한 30% 구조조정안에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임직원 감원 후 사업을 당분간 자체 운영하기로 했다”며 “당분간 회사를 운영하면서 인수업체를 찾기로 했다”고 덧붙였으나 사측 관계자는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날 협의한 내용은 신동환 대표와 대주주 신준호 전 회장 등의 결정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설명 입니다.

푸르밀 관계자는 “사측이 사업 종료를 철회했다던가 노조 측의 30% 구조조정안에 동의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며 “아직 확정되지 않은 사안에 대해서 사측의 공식적인 입장은 추후 도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_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